안녕하세요. 알아둬도 쓸떼없는입니다.
오늘은 고혈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혈압은 익히 들 아는 만성질환입니다.
우리 몸안에 흐르는 혈액은 혈관을 따라 흐릅니다.
이 혈액이 혈관의 벽에 주는 압력이 혈압이라고 하죠. 그리고 항상 일정해야 합니다.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으로 나뉘는데,
수축기 혈압은 심근의 수축 때문에 심실 내의 혈액이 대동맥으로 나올 때의 혈관 내 최고 압력이고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한 다음 확장될 때 심장에 혈액이 가득 모였을 때의 혈관 내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냅니다.
고혈압은 이 혈압이 정상치인 120/80mmHg 벗어나 보다 높은 범위의 만성질환입니다.
고혈압 판단 기준은 연령, 성별, 자세, 측정시간, 심리상태에 따른 개인차가 크지만, 혈압이 지속적으로
140/90mmHg 이상일 때고혈압으로 판단합니다
고혈압은 혈압이 높은 것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뒤따라오는 합병증과 증상들이 무섭습니다.
고혈압을 관리하지 않으면 혈관 내피가 손상되면서 동맥경화증을 촉진하며
이는 허혈성 심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심부전도 초래합니다.
고혈압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는 일차성 고혈압(본태성 고혈압)과
신장 질환 등 일차적 질환에 의해 혈압이 상승하는 이차성 고혈압이 있습니다.
고혈압의 사례의 90%의 정도는 일차성고혈압 환자입니다.
일차성 고혈압의 원인은 명확한 이유는 없으나,
유전적소인이나, 고령, 식생활요인, 생활습관 요인또는 병리적 요인등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의 90%가 이 일차성 고혈압환자이니
평상시 생활습관과 식생활요인으로도 충분히 혈압의 관리가 가능합니다.
생활습관요인 개선요인
(1) 알콜섭취를 줄이고(절주 남성의경우 소준 2~3잔 여성은 1잔 )
(2)신체활동 즉 운동(유산소운동 30분이상 도움이 됩니다)을 하며
(3)스트레스를 줄여야합니다.
식생활의 개선요인으로는
(1)에너지 즉 칼로리 과다 섭취를 줄이시고(복부비만)
(2)나트륨 섭취를 줄이셔야합니다.
(3)칼륨, 마그네슘또는 칼슘의 섭취가 부족하지 않도록 해줍니다.
(4)채식위주의 식습관과 적절한 과일섭취를 해줍니다.
고혈압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상승하시는걸 보실수가 있습니다.
10~20대보단 30대이후 환자의 차지하는 비중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술문화와 스트레스, 회식들으로 혈압관리에
취약해질수 밖에 없습니다.
고혈압은 성별로는 남성의 환자가 더 많긴 하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이후로 뚜렷하게 증가하는 증상이 보입니다.
여성의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가 줄면서
그것을 생성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면서
혈압을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수 있기때문입니다.
고혈압은 평소에 생활습관과 식습관으로도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만성질환입니다.
그러니 꾸준한 운동과 식습관 개선으로 관리를 하여
다른 합병증이 오지 않도록 해주시는것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아연Zin(면역력을 높이는 무기질) (0) | 2020.10.16 |
---|---|
건강- 비만 (체지방 기능성 원료) (0) | 2020.10.12 |
건강- 비만 (0) | 2020.10.07 |
건강-면역(면역 기능성 원료) (0) | 2020.10.03 |
건강 - 면역 (0) | 2020.10.03 |